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deep learning
- stl
- DFS
- softmax
- PIR
- join
- 모두를 위한 딥러닝
- 한화오션
- Programmers
- sung kim
- 시간초과
- Machine learning
- CSAP
- c++
- mysql
- Queue
- 모두를 위한 머신러닝
- 알고리즘 고득점 kit
- 큐
- deque
- 프로그래머스
- TensorFlow
- sort
- BOJ
- 정렬
- Linear Regression
- ML
- 백준
- Neural Network
- SQL
- Today
- Total
hello, world!
[시크:하다] 조승연 본문
egoist, not egotist
궁극적으로 우린 모두 행복하길 바란다 (안정감을 느낄 때 행복하다)
- French way of being happy
궁극적으로 모두가 바라는 것은 행복이다. 행복은 편함에서 온다. 한국은 확실하게 ‘편리’한 나라다. 대중교통의 냉난방 시스템이라던가 당일 배송 서비스라던가 우리는 많은 것을 빠르게 누리고 있다. 그런데 혹 이 편리함의 대가로 희생되는 것이 있지는 않을까? 프랑스 국민들은 ‘편리’함을 마다하고 ‘편안’함을 선택한다. 한 물건을 오래 사용하는 습관이 있으며 고장이 나더라도 잘 바꾸지 않는다. 불편하더라도 익숙한 것, 예측할 수 있는 것들로 자신을 채운다. 매년 쏟아져 나오는 신제품으로 바꾸는 (혹은 바꾸고 싶어하는) 습관은 분명 편리함을 제공한다. 그러나 한 번도 해당 제품을 온전히 마스터 했다는 안정감을 경험할 수는 없다. ‘예측 가능한 사람이 되어주는 것이 사랑’이라는 말을 들은 적이 있다. 그 정도로 인간은 안정감을 느낄 때 행복하다.
프랑스인의 이기주의
- 정확한 계산이 좋은 친구를 만든다
프랑스에는 ‘정확한 계산이 좋은 친구를 만든다-Bon fait bon ami’는 속담이 있다. 혹자는 막역한 친구 사이에 무슨 계산을 하느냐며 의야 할지도 모르겠다. 이는 이해타산적인 사고방식을 말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프랑스인들의 ‘고슴도치’ 이야기를 해보겠다. 서로에게 찔리지 않을 거리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함께 멀리 갈 수 있다는 의미의 비유법이다. 가까운 사이일수록 서로가 편안할 수 있는 거리를 정확히 계산해내서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여기서 ‘거리’라 함은 얼마나 자주 시간을 보내는지가 될 수도 있고 얼마나 깊은 이야기까지 나누는 지를 의미할 수도 있겠다. 부담스럽지도 섭섭하지도 않은 딱 알맞은 거리를 계산해내는 능력이야말로 관계를 유지하는 비법이 아닐까 공감했다.
아미 ami와 코펭 copain은 한글로는 모두 ‘친구’라고 번역된다. 아미는 그야말로 진정 나의 이너서클 안에 들어있는 적은 수의 사람을 의미하며 코펭은 그 밖에 모든 친구를 두루 칭하는 표현이다. 프랑스인들은 이처럼 친구를 칭하는 단어를 구별하여 정의함으로서 둘을 대하는 태도의 차이를 강조한다. 관계를 분명히 해 두는 것에서 얻는 확신과 안정감이 얼마나 큰 만족을 주는지 잘 안다. 애매하게 끼어들어 상대를 당황하게 한다거나 얼마만큼 솔직해도 되는지 고민한다거나 하는 일이 없다.
내가 지향하는 모습과의 교집합
- egoist, not egotist (한끗차이)
본인은 프랑스가 아닌 한국에 살고 있다. 빠른 것, 새 것 아주 좋아한다. 그러나 분명한 것, 확실한 것을 훨씬 더 좋아한다. 그런 면에서 프랑스인들 정해진 태도는 상당한 위로가 되었다. egoist, egotist 차이점
'Book Revi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렌드 코리아 2023] 김난도 외 9명 (0) | 2023.03.31 |
---|---|
[오직 두 사람] 김영하 (0) | 2023.03.04 |
[우리는 여전히 삶을 사랑하는가] 에리히 프롬 (0) | 2023.02.09 |